핀란드의 교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의 교육은 1640년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 설립을 시작으로, 루터교의 문해력 강조, 19세기 중반 핀란드어 공용어화, 민중 학교 설립을 거쳐 현대적인 교육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현재 7세부터 18세까지 의무 교육이며, 유아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고, 9년제 종합 학교, 고등학교, 직업 학교를 포함하는 유연한 교육 체제를 갖추고 있다. 고등 교육은 대학과 응용 과학 대학교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외국어 교육을 강조한다. 핀란드는 PISA 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최근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고등 교육 시스템의 구조 조정을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핀란드의 교육 | |
---|---|
교육 개요 | |
국가 | 핀란드 |
주관 기관 | 교육문화부 |
교육 언어 | 핀란드어, 스웨덴어, 영어 |
교육 형태 | 국가 주도형 |
역사적 배경 | 1970년대 이후 현재 시스템 확립 |
문해율 | |
문해율 (2000년 기준) | 99.5% |
남성 문해율 (2000년 기준) | 99.5% |
여성 문해율 (2000년 기준) | 99.5% |
학업 성취도 | |
초등 교육 졸업률 | 99.7% |
중등 교육 졸업률 | 66.2% |
중등 교육 이수율 | 학업 중심 54%, 직업 교육 45% |
고등 교육 이수율 | 44% (25–64세) |
정부 | |
교육문화부 장관 | 안나-마야 헨릭손 |
과학문화부 장관 | 사리 물탈라 |
예산 (2018년) | 119억 유로 |
교육 시스템 | |
특징 | 중등 및 고등 교육은 학업 중심과 직업 교육 시스템으로 나뉨 |
교육 개혁 | |
개혁 노력 | 핀란드 교육 개혁 노력 25년 http://www.oppi.uef.fi/~anti/publ/uudet/twenty_five_years.pdf |
기타 정보 | |
참고 자료 | http://hdr.undp.org/en/indicators/103706# http://yle.fi/uutiset/pisa-tulokset_julki_suomi_pudonnut_matematiikassa_10_sijaa_yhdeksassa_vuodessa/6965181 http://wef.ch/2wcVUt8 http://www.brookings.edu/research/reports/2015/03/24-gender-gap-loveless |
2. 역사
핀란드의 교육 역사는 종교, 사회 변화, 국가 정책에 따라 발전해 왔다.
문해력은 루터교 국가인 핀란드에서 매우 중요했다. 마르틴 루터의 제자 미카엘 아그리콜라는 1548년 신약 성서를 핀란드어로 번역했다. 1640년, 핀란드 최초의 대학인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 19세기 중반 핀란드의 문해율은 80~90%에 달했으며, 1880년에는 97.6%를 기록했다.[9]
19세기까지 핀란드의 교육은 스웨덴어로 진행되었고, 'pedagogio', 트리비얼 학교, 김나지움, 대학교로 구성되었다. 19세기 중반, 핀란드어가 공용어가 되면서 교육 언어가 핀란드어로 바뀌기 시작했다. 1898년에는 모든 사람이 국민 학교(kansakoulu)에 다닐 권리를 얻었고, 1921년 의무 교육이 도입되었다.[10]
10세에 입학하는 학습 학교(oppikoulu)는 선택 사항이었고 경쟁이 치열했다. 이는 대학 진학의 유일한 길이었기 때문에, 가난한 사람들의 교육 기회를 제한했다. 1972~1977년, 핀란드는 1~9학년 의무 교육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15세 이후에는 인문계(lukio)와 실업계(ammattioppilaitos)로 나뉜다. 최근에는 실업계 졸업생도 대학에 진학할 수 있게 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여전히 어렵다.
직업 교육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증가했으며, 1990년대에는 최초의 직업 대학이 설립되었다.[96] 교육 관련 의사 결정은 1869년까지 교회가 담당했다. 이후 학교 행정청이 설립되었고, 1991년 교육청으로 통합되었다. 현재의 기초 교육 법령은 1998년부터 시행되고 있다.[96]
2. 1. 초기 교육 시스템 (스웨덴 통치 시기)
문해력은 핀란드의 국교이자 다수 종교인 루터교의 핵심 요소였는데, 기독교인들은 모국어로 성경을 읽을 수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미카엘 아그리콜라 주교는 마르틴 루터의 제자였으며 1548년에 신약을 핀란드어로 번역했다. 핀란드의 첫 번째 대학교(투르쿠 왕립 아카데미)는 1640년에 설립되었다. 문해력은 18세기 후반에 50%를 넘었고, 19세기 중반에는 80~90%에 달했다. 지자체에 학교가 없을 경우, 순회 학교(''kiertokoulu'')에서 읽기를 가르쳤다. 성인으로의 전환 의례인 견신례는 문해력을 갖춘 사람에게만 허용되었으며, 결혼 등도 가능하게 했다. 1880년부터 공식 통계가 제공되었는데, 당시 문해율은 97.6%였다.[9]스웨덴 통치하의 초기 교육 시스템은 스웨덴어로 진행되었으며, 읽기와 쓰기를 가르치는 기본 "pedagogio", 문법, 라틴어, 그리스어, 수사학 및 변증법을 가르치는 트리비얼 학교, 대학교 진학을 준비하는 김나지움, 그리고 대학교로 구성되었다.
학교는 중세 교회와 함께 핀란드에 전파되었다. 핀란드의 최초 학교는 투르쿠에 있었다. 1200년대에 설립된 투르쿠 대성당Turun tuomiokirkkofi 부속 주교좌 학교에서는 장래의 사제를 교육했으며, 이 외에도 시에는 도미니코회가 소유한 수도원 학교가 있었다. 최초의 고등학교는 1630년 투르쿠에 설립되었다.[89] 핀란드 최초의 대학은 1640년에 설립된 왕립 투르쿠 아카데미였다.[90]
민중 교육은 1800년대 중반까지 교회의 지배하에 있었다. 원칙적으로 모든 부모는 자녀가 기독교의 기본적인 교리를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칠 의무가 있었다. 이것은 1600년대 말부터 교리 낭독 설교를 통해 감시되었으며, 거기에서 성직자는 아이들과 어른들에게 기독교 지식에 대해 질문했다. 부모의 교육 활동은 교회가 조직하는 순회 학교에서 지원받았으며, 순회 교사는 일 년에 여러 번 교장을 옮겨 다녔다. 순회 교사는 민중 학교 교육을 받을 수 없는 마을이나 지역의 학생들에게 초보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했다.[91]
2. 2. 국민 학교 설립과 의무 교육 도입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핀란드의 국교이자 다수 종교인 루터교에서는 문해력이 중요했는데, 기독교인들은 모국어로 성경을 읽을 수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마르틴 루터의 제자인 미카엘 아그리콜라 주교는 1548년에 신약을 핀란드어로 번역했다. 1640년에는 핀란드 최초의 대학교인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 18세기 후반 핀란드의 문해력은 50%를 넘었고, 19세기 중반에는 80~90%에 달했다. 지자체에 학교가 없을 경우, 순회 학교(''kiertokoulu'')에서 읽기를 가르쳤다. 문해력을 갖춘 사람만이 견신례를 받고 결혼 등을 할 수 있었다. 1880년부터 공식 통계가 제공되었는데, 당시 문해율은 97.6%였다.[9] 19세기 핀란드의 교육 시스템은 ''kansakoulu''("국민 학교"), ''oppikoulu''("학습 학교"), 고등학교(''lukio''), 대학교로 구성되었다. 19세기 중반, 핀란드어가 공용어가 되면서 학교 교육 언어가 점차 스웨덴어에서 핀란드어로 바뀌었다.1898년, 모든 사람은 ''kansakoulu''에 다닐 권리를 얻었다. 1911년에는 출석률이 50%에 달했고, 1921년에는 의무 교육이 도입되어 지자체가 학교 교육을 제공해야 했다.[10] 1948년에는 무상 급식이 의무화되었다.
thumb
우노 스그네우스는 핀란드 민중 학교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1857년, 그는 원로원에 민중 학교 설립을 제안했고, 1866년 민중 학교령이 공포되었다. 이 법령에 따라 마을은 교회와 별도로 민중 학교를 조직해야 했다. 이는 스위스의 선례를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 민중 학교는 4년제였으며, 설립은 마을의 자유였다. 교회의 순회 학교는 수십 년 동안 민중 학교와 함께 운영되었다. 1898년 학군 편성령으로 마을은 모든 지역 중심지에 민중 학교를 설립해야 했다. 그러나 민중 학교 통학은 1921년 학습 의무법이 제정된 후에야 의무화되었다.[92] 벽지에는 긴 전환 기간이 허용되었으며, 라피와 라야-카르얄라의 가장 먼 마을에서는 1950년대가 되어서야 민중 학교 제도가 마련되었다.[93]
2. 3. 현대 교육 시스템으로의 전환 (20세기 후반)
문해력은 핀란드의 국교이자 다수 종교인 루터교의 핵심 요소였는데, 기독교인들은 모국어로 성경을 읽을 수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미카엘 아그리콜라 주교는 마르틴 루터의 제자였으며 1548년에 신약을 핀란드어로 번역했다. 핀란드의 첫 번째 대학교(투르쿠 왕립 아카데미)는 1640년에 설립되었다. 문해력은 18세기 후반에 50%를 넘었고, 19세기 중반에는 80~90%에 달했다. 지자체에 학교가 없을 경우, 순회 학교(''kiertokoulu'')에서 읽기를 가르쳤다. 성인으로의 전환 의례인 견신례는 문해력을 갖춘 사람에게만 허용되었으며, 결혼 등도 가능하게 했다. 1880년부터 공식 통계가 제공되었는데, 당시 문해율은 97.6%였다.[9]스웨덴 통치하의 초기 교육 시스템은 스웨덴어로 진행되었으며, 읽기와 쓰기를 가르치는 기본 "pedagogio", 문법, 라틴어, 그리스어, 수사학 및 변증법을 가르치는 트리비얼 학교, 대학교 진학을 준비하는 김나지움, 그리고 대학교로 구성되었다. 19세기에 이 시스템은 ''kansakoulu''("국민 학교")와 ''oppikoulu''("학습 학교")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고등학교(''lukio'')와 대학교가 포함되었다. 19세기 중반에 핀란드어가 공용어가 되었고, 점차 스웨덴어를 학교 교육 언어로 대체했다. 1898년에는 모든 사람이 ''kansakoulu''에 다닐 권리를 얻었다. 출석률은 1911년에 50%에 달했고, 1921년에 의무화되었으며, 지자체는 학교 교육을 제공해야 했다.[10] 1948년에는 무상 급식이 의무화되었다.
10세에 입학하는 ''oppikoulu''는 선택 사항이었고 입학 경쟁이 치열했다. 대학교 교육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었고 입학이 부모의 신분과 선택에 크게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덜 부유한 사람들의 기회를 심각하게 제한했다. 노동자 계층은 종종 ''kansakoulu''만 마치고 노동 시장에 진출했다. 이 시스템은 1972~1977년에 1~9학년이 의무 교육인 현대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15세 이후에는 학문적 과정(''lukio'')과 직업 과정(''ammattioppilaitos'')으로 나뉘며, 이는 중등 및 고등 교육 수준에서 모두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직업 학위로 고등 교육에 진학하는 것이 공식적으로 가능해졌지만, 직업 학습 계획이 대학 입학 시험을 준비시키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어렵다.
2. 4. 최근의 변화 (21세기)
문해력은 핀란드의 국교이자 다수 종교인 루터교의 핵심 요소였는데, 기독교인들은 모국어로 성경을 읽을 수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미카엘 아그리콜라 주교는 마르틴 루터의 제자였으며 1548년에 신약을 핀란드어로 번역했다. 핀란드의 첫 번째 대학교(투르쿠 왕립 아카데미)는 1640년에 설립되었다. 문해력은 18세기 후반에 50%를 넘었고, 19세기 중반에는 80~90%에 달했다. 지자체에 학교가 없을 경우, 순회 학교(''kiertokoulu'')에서 읽기를 가르쳤다. 성인으로의 전환 의례인 견신례는 문해력을 갖춘 사람에게만 허용되었으며, 결혼 등도 가능하게 했다. 1880년부터 공식 통계가 제공되었는데, 당시 문해율은 97.6%였다.[9]스웨덴 통치하의 초기 교육 시스템은 스웨덴어로 진행되었으며, 읽기와 쓰기를 가르치는 기본 "pedagogio", 문법, 라틴어, 그리스어, 수사학 및 변증법을 가르치는 트리비얼 학교, 대학교 진학을 준비하는 김나지움, 그리고 대학교로 구성되었다. 19세기에 이 시스템은 ''kansakoulu''("국민 학교")와 ''oppikoulu''("학습 학교")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고등학교(''lukio'')와 대학교가 포함되었다. 19세기 중반에 핀란드어가 공용어가 되었고, 점차 스웨덴어를 학교 교육 언어로 대체했다. 1898년에는 모든 사람이 ''kansakoulu''에 다닐 권리를 얻었다. 출석률은 1911년에 50%에 달했고, 1921년에 의무화되었으며, 지자체는 학교 교육을 제공해야 했다.[10] 1948년에는 무상 급식이 의무화되었다.
10세에 입학하는 ''oppikoulu''는 여전히 선택 사항이었고 입학 경쟁이 치열했다. 대학교 교육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었고 입학이 부모의 신분과 선택에 크게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덜 부유한 사람들의 기회를 심각하게 제한했다. 노동자 계층은 종종 ''kansakoulu''만 마치고 노동 시장에 진출했다. 이 시스템은 1972~1977년에 1~9학년이 의무 교육인 현대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15세 이후에는 학문적 과정(''lukio'')과 직업 과정(''ammattioppilaitos'')으로 나뉘며, 이는 중등 및 고등 교육 수준에서 모두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직업 학위로 고등 교육에 진학하는 것이 공식적으로 가능해졌지만, 직업 학습 계획이 대학 입학 시험을 준비시키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어렵다.
3. 유아 교육
핀란드의 유아 교육은 만 7세까지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며, 평생 교육의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시기로 여겨진다. 이 시기에는 협력, 의사소통 기술과 같은 사회성 발달에 중점을 두며, 읽기 및 수학과 같은 기초 학습 능력 함양을 위한 준비 단계를 거친다.[11]
3. 1. 교육 내용 및 철학
핀란드에서 수준 높은 보육 시설과 유치원은 어린아이들이 평생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중요한 협력 및 의사 소통 기술을 개발하고, 읽기 및 수학의 공식적인 학습에도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 준비 기간은 7세까지 지속된다. 핀란드 유아 교육은 각 아동의 개성을 존중하고, 각 아동이 독특한 개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강조한다.[11] 핀란드 유아 교육자들은 또한 아동이 사회적 및 상호 작용 기술을 개발하도록 지도하고, 다른 사람의 필요와 관심사에 주의를 기울이며,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다른 사람, 다른 문화 및 다른 환경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장려한다. 점차적으로 더 많은 독립성을 제공하는 목적은 모든 어린이가 스스로를 돌보고 "성인이 되어, 책임감 있는 결정을 내리고, 활동적인 시민으로서 사회에 생산적으로 참여하고, 그의 (또는 그녀의) 도움이 필요한 다른 사람들을 돌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11]독서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신생아 부모에게는 세 권의 책, 즉 부모 각각에게 한 권, 아이를 위한 아기 책이 "출산 패키지"의 일부로 제공된다.[12] 핀란드 아동 발달 전문가 Eeva Hujala는 "유아 교육은 평생 학습의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신경학적 연구에 따르면 뇌 성장의 90%가 생후 5년 동안 발생하며, 신경 경로의 85%가 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발달한다 (참고: 핀란드에서는 7세)."라고 설명한다.[13]
핀란드는 1990년부터 8개월에서 5세 사이의 아동을 위한 무상 보육을 시행해 왔으며, 1996년부터 6세에 1년의 "유치원"을 시행해 왔다. "보육"에는 종일 아동 보육 센터와 부모가 자녀와 동반할 수 있는 성인 감독 하의 시립 놀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지방 자치 단체는 집에서 머물면서 처음 3년 동안 "가정 보육"을 제공하려는 어머니에게 수당을 지급한다.[14] 지역 시립 아동 보육 센터 (사립이지만 지방 자치 단체의 보조금을 받거나 중앙 정부의 지원금으로 지방 자치 단체에서 지불하는)의 성인 대 아동 비율은 다음과 같다.
대상 연령 | 성인 대 아동 비율 | 비고 |
---|---|---|
3세 이하 | 12명당 성인 3명 (교사 1명, 간호사 2명) | 1:4 |
3세에서 6세 | 20명당 성인 3명 (교사 1명, 간호사 2명) | 약 1:7 |
해당되는 경우, 지불 금액은 가구 소득에 따라 조정되며 무료에서 월 최대 약 200EUR까지 다양하다.[15] Pepa Ódena는 이 센터에서는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것"이며,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배운다고 설명한다. 이 철학은 우리가 방문한 모든 학교에서 교사의 말과 우리가 보는 모든 것에서 실제로 적용된다.[16]
핀란드에서는 유아 교육이 의무 사항은 아니지만 거의 모든 사람이 이용한다. 헬싱키 교육부의 Eeva Penttilä는 "우리는 보육과 유치원을 아이의 권리로 본다"고 설명하며, "아이를 일할 때 버리는 곳이 아니다. 아이가 놀고 배우고 친구를 사귀는 곳이다. 좋은 부모는 자녀를 보육 시설에 맡긴다. 이는 사회 경제적 계층과 관련이 없다."라고 덧붙였다.[17]
유치원 학생의 초점은 "배우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읽기와 수학에 대한 공식적인 교육 대신 자연, 동물 및 "생명의 순환"에 대한 수업이 있으며, 재료 기반 학습에 중점을 둔다.[17] 아이들이 학습 능력을 평생 기술로 개발하고, 그들이 수집한 지식의 실제 적용을 볼 때, 그들은 평생 학습자가 될 것이라고 굳게 믿어진다.[18]
핀란드의 교육 제도는 9년간의 기초 교육 (기초 학교), 그 후의 중등 교육 (일반 고등학교와 직업 고등학교), 그리고 고등 교육 (직업 대학과 학술 대학)의 세 단계로 분류된다. 성인 교육은 모든 교육 단계에서 제공된다.[68]
2015년부터는 다음 해에 기초 학교에 입학하는 6세 아동이 취학 전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그 이전에도 거의 모든 아이들이 취학 전 교육에 참여했다.[69]
기초 학교의 학급 담임과 교과 교원, 그리고 직업 교육의 교원은 대학 학위와 더불어 교육 과학을 전공해야 한다. 유치원 교사와 취학 전 교육 교사도 대학 학위를 가지고 있다.[70]
3. 2. 보육 시설 및 지원
핀란드는 수준 높은 보육 시설과 유치원을 통해 어린이들이 평생 교육에 필요한 협력 및 의사소통 기술을 배우고, 읽기와 수학 등 আনুষ্ঠানিক 학습의 기초를 다지도록 돕는다. 이 과정은 7세까지 이어진다. 핀란드 유아 교육은 아이들의 개성을 존중하고, 각자가 독특한 개인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한다.[11] 또한, 사회성 및 상호작용 기술을 기르고, 타인의 필요와 관심사를 고려하며, 다른 문화와 환경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도록 이끈다. 점진적으로 독립성을 부여하여, 모든 어린이가 스스로를 돌보고 책임감 있는 결정을 내리며, 사회에 기여하고,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돕는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 목표이다.[11]핀란드는 독서 문화 조성을 위해 갓 태어난 아기의 부모에게 출산 패키지에 담긴 세 권의 책(부모 각자에게 한 권, 아기를 위한 그림책 한 권)을 선물한다.[12] 핀란드 아동 발달 전문가 에바 후얄라(Eeva Hujala)는 "유아 교육은 평생 학습의 첫걸음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라며, "뇌 발달의 90%는 생후 5년 안에, 신경 경로의 85%는 취학 전에 형성된다(핀란드는 7세에 취학)"고 강조한다.[13] 핀란드에서 "돌봄"은 양육과 같은 의미로, 7세에 시작되는 정규 교육에 앞서 부모와 사회가 협력하여 아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성장을 돕는 것을 의미한다. 7세 이전의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가장 잘 배우며, 이를 통해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된다.
핀란드는 1990년부터 만 8개월~5세 아동에게 무상 보육을, 1996년부터는 만 6세 아동에게 1년간의 "유치원" 교육을 제공한다. "보육"은 종일반 보육 시설과 부모 동반 하에 이용 가능한 시립 놀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첫 3년간 가정 보육을 선택하는 부모에게는 수당을 지급하며, 보육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환경을 점검하기도 한다.[14]
시립 보육 시설(사립 시설도 지방 자치 단체의 보조금 또는 중앙 정부 지원금으로 운영)의 교사 대 아동 비율은 다음과 같다.
연령 | 성인 비율 |
---|---|
만 3세 이하 | 12명당 교사 1명, 간호사 2명 (1:4) |
만 3~6세 | 20명당 교사 1명, 간호사 2명 (약 1:7) |
보육료는 가구 소득에 따라 무료에서 최대 월 200EUR까지 차등 적용된다.[15] 이 시설에서는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것"을 목표로 하며,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배운다.[16]
핀란드에서 유아 교육은 의무는 아니지만, 거의 모든 아이들이 참여한다. 헬싱키 교육부의 에바 펜틸래(Eeva Penttilä)는 "보육과 유치원은 아이의 권리"라며, "단순히 아이를 맡기는 곳이 아니라, 놀고 배우고 친구를 사귀는 곳이다. 좋은 부모는 아이를 보육 시설에 보내며, 이는 사회경제적 배경과 무관하다"고 설명한다.[17] 유치원에서는 "배우는 방법"을 가르치는 데 중점을 둔다.[17] 읽기, 쓰기 등 정규 교육 대신 자연, 동물, "생명의 순환"에 대한 수업과 체험 학습을 통해 학습 능력을 기르고, 습득한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경험을 통해 평생 학습자로 성장하도록 돕는다.[18]
2015년부터는 초등학교 입학 전 해에 만 6세 아동의 취학 전 교육 참여가 의무화되었다. 이전에도 거의 모든 아이들이 취학 전 교육을 받았다.[69] 핀란드 유치원 및 취학 전 교육 교사는 대학 학위를 소지하고 있다.[70]
4. 기초 교육 (종합 학교)
핀란드의 기초 교육은 9년제 종합 학교(핀란드어: peruskoulu, 스웨덴어: grundskola)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의무 교육 과정이다. 홈스쿨링도 허용되지만, 매우 드물다.[19] 7세(특별한 이유가 있을 경우 6세)에 시작하여 만 15~16세에 종료된다.
핀란드의 교육 제도는 아래 표와 같다.
학위 | 직업 학위 | 일반적인 연령 |
---|---|---|
박사 | 취업 | |
준석사 | ||
석사 | 석사 (신설) | (+2-3) |
학사 | 학사 | (+3-4) |
고등학교 (2021년 9월부터 18세 이상이 아닌 경우 의무화, 이전에는 선택 사항) | 직업 학교 (2021년 9월부터 18세 이상이 아닌 경우 의무화, 이전에는 선택 사항) | 17-18–19 |
16-17–18 | ||
15-16–17 | ||
종합 학교 (의무) | 14-15–16 | |
13-14–15 | ||
12-13–14 | ||
11-12–13 | ||
10-11–12 | ||
9-10–11 | ||
8-9–10 | ||
7-8–9 | ||
6-7–8 | ||
유치원 | 5-6–7 |
핀란드에서는 사립학교가 거의 없으며, 설립은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사립학교는 설립 후 지방 학교와 동일한 규모의 국가 지원을 받지만, 수업료 부과는 엄격히 금지된다. 또한, 지방 학교에서 제공하는 모든 권리를 학생들에게 보장해야 한다. 이 때문에 현존하는 사립학교는 대부분 종교 재단이나 발도르프 학교가 설립했다.
초등학교 첫 해에는 언어 교육 등에 학점이 제한되며, 학점은 4에서 10까지 부여된다. 개별 시험에서는 ½ 단위, '+'와 '–'를 사용하여 ¼ 단위를 나타낼 수 있다. ("9 < 9+ < 9½ < 10– < 10" 순) 10+ 학점은 완벽한 성적을 낸 학생에게 주어진다.
종합 학교 학생이 봄 학기 마지막에 4 학점을 받으면, 여름 학기 말에 별도 시험을 치러 실력 향상을 증명해야 한다. 여러 과목에서 낙제점을 받으면 유급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드물며 학생과 학부모 상담 후 교사와 교장이 결정한다.
종합 학교 학생들은 무상 급식(하루 필요량의 1/3), 교과서 및 교재, 학교 주관 소풍 등을 무상으로 제공받는다.
2017년 기준 핀란드에는 2,276개의 기초 학교가 있으며, 총 556,742명의 학생이 있다.[72] 가르치는 언어는 핀란드어 또는 스웨덴어이다.
4. 1. 학교 운영 및 특징
핀란드의 의무 교육 시스템은 9년제 종합 학교(핀란드어: peruskoulu, 스웨덴어: grundskola, "기본 학교")로 시작하며, 새로운 법률에 따라 의무 교육은 7세부터 18세까지로 확대되어 고등학교(핀란드어: lukio, 스웨덴어: gymnasium) 또는 직업 학교(핀란드어: ammattikoulu, 스웨덴어: yrkesskola)까지 포함된다.[19] 홈스쿨링은 허용되지만 드물다.대학교까지의 학교는 거의 전적으로 핀란드 지방 자치 단체에서 자금을 지원하고 관리한다. 사립 학교는 거의 없으며, 새로운 사립 종합 학교를 설립하려면 핀란드 정부의 결정이 필요하다. 사립 학교가 설립되면 시립 학교와 유사한 국가 보조금을 받는다. 그러나 사립 학교에서도 수업료 사용과 선별적 입학은 엄격히 금지되어, 시립 학교와 동일한 기준으로 학생을 입학시켜야 한다. 또한 사립 학교는 학생들에게 시립 학교 학생들과 동일한 교육 및 사회적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이 때문에 기존의 사립 학교는 대부분 신앙 기반 또는 발도르프 학교이다.
교사는 국가 교육 과정 지침을 따르지만 교수법에 대해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며, 자신의 교과서를 선택할 수도 있다.[20] 수업은 소규모로, 20명 이상의 학생이 거의 없다.[21] 학생들은 학교 언어(일반적으로 핀란드어 또는 스웨덴어) 외에 두 개의 언어를 배우며, 1학년부터 9학년까지 미술, 음악, 요리, 목공, 금속 공예 및 섬유 수업을 매주 4~11시간 듣는다.[22] 학교 분위기는 편안하고 격식 없으며, 건물은 매우 깨끗하여 학생들이 양말만 신고 신발을 신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실외 활동은 추운 날씨에도 강조되며, 숙제는 최소화된다.[24]
종합 학교 초기에는 공식적인 성적 대신 언어 평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치적 채점 시작은 지역별로 결정된다. 학생들은 1년에 두 번 성적표를 받으며, 고부담 시험은 없다. 성적은 4에서 10까지의 척도로 부여되며, 개별 시험에서는 '½', '+', '–'를 사용하여 더 세분화할 수 있다.
학생이 특정 과목에서 4점을 받으면 여름 학기 말에 별도의 시험을 치러 실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여러 과목에서 낙제점을 받으면 학년 전체를 반복해야 할 수 있지만, 추가적인 도움과 지도를 제공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학생을 유급시키는 드문 경우에는 교사와 교장이 학생 및 학부모와 면담 후 결정한다.
종합 학교 학생들은 학교 건강 관리, 매일 무료 점심(일일 영양 요구량의 약 1/3 충족),[29] 무료 도서 및 자료, 무료 학교 여행 등의 사회적 혜택을 받는다.
기초 교육은 기초 학교에서 무상으로 제공되며, 기초 교육법으로 규정된다. 기초 학교는 보통 아이가 7세가 되는 해에 시작되지만, 심리 검사 결과에 따라 6세에 시작하거나 1년 늦출 수 있다.[71] 기초 학교 졸업에는 보통 9년이 걸리며, 졸업 시험은 없지만 이후 교육에 들어갈 자격을 준다.[68]
핀란드의 모든 7-16세 학생은 의무 교육을 받아야 하며, 기초 교육에 참여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교육을 받아야 한다. 기초 교육 과정을 10년 미만으로 수료한 경우, 학습 의무가 종료될 수 있다.[71]
2017년 기준 핀란드에는 2,276개의 기초 학교가 있으며, 총 556,742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72] 가르치는 언어는 핀란드어 또는 스웨덴어이다.
4. 2. 교육 과정 및 평가
핀란드의 의무 교육 시스템은 1학년부터 9학년까지의 9년제 종합 학교(핀란드어: peruskoulu, 스웨덴어: grundskola, "기본 학교")로 구성되어 있다.[19] 2021년 부터 의무 교육은 7세에서 18세까지로 확대되었고, 고등학교(핀란드어: lukio, 스웨덴어: gymnasium) 또는 직업 학교(핀란드어: ammattikoulu, 스웨덴어: yrkesskola)가 포함되었다.[19] 홈스쿨링은 허용되지만 드물다.종합 학교 초반에는 공식적인 성적 대신 언어 평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치 채점 시작 시기는 지역별로 다르다. 보통 학생들은 1년에 두 번, 가을과 봄 학기말에 성적표를 받는다. 고부담 시험은 없다.
성적은 4에서 10까지 매겨진다. 개별 시험에서는 '½'(반 점), '+'(1/4점 높음), '–'(1/4점 낮음)를 사용해 세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 < 9+ < 9½ < 10– < 10" 순서이다. '10+'는 추가 노력으로 완벽한 성적을 거둔 경우 부여된다.
봄 학기말 특정 과목에서 4점을 받으면 여름 학기말 별도 시험을 통해 실력 향상을 증명해야 한다. 여러 과목에서 낙제점을 받으면 유급될 수 있지만, 추가 지원과 지도가 우선시된다. 유급 결정은 교사, 교장, 학생, 학부모 면담 후 내려진다.
기초 교육은 기초 학교의 무상 일반 교육이며, 기초 교육법으로 규정된다. 기초 학교는 보통 만 7세에 시작한다. 심리 검사를 통해 6세 입학이 가능하거나, 발육 기간이 더 필요하면 부모는 1년간 시작 연령 변경을 신청할 수 있다. 기초 학교 졸업에는 보통 9년이 걸린다.[71] 졸업 시험은 없지만, 이후 교육 자격이 주어진다.[68]
만 7-16세 학생은 법적으로 의무 교육 대상이며, 기초 교육 참여 또는 다른 방법으로 교육받아야 한다. 10년 미만 기초 교육 과정 수료 시 학습 의무가 종료될 수 있다.[71]
4. 3. 학생 복지
종합 학교 학생들은 학교 건강 관리, 매일 제공되는 무료 점심(일일 영양 요구량의 약 1/3 충족[29]), 무료 도서 및 자료, 무료 학교 여행(장거리 또는 힘든 통학의 경우 숙소 제공) 등의 사회적 혜택을 누린다.핀란드에서는 1948년부터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무상으로 학교 급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규모의 학교 급식은 세계적으로 드물다.[97]
1956년에 법제화된[96] 학동 치과 검진은 현재 학교 보건의 일부이며, 전 학년 건강 검진과 보건 교사 상담도 포함된다.[98] 학생 복지의 일환으로 학교 심리 상담사 지원도 제공된다. 2015년부터 지자체는 학생 1,000명당 1명의 심리 상담사를 확보하는 것이 권장된다.[99]
5. 중등 교육
핀란드의 중등 교육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며, '이차 교육(Secondary education)'이라고 불린다. 이 과정은 크게 직업 학교(실업계)와 인문계 고등학교(인문계)로 나뉜다. 실업계 학교는 취업을 위한 직업 교육 및 직업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하고, 인문계 학교는 전인 교육(all around education)을 통해 대학 진학을 준비시킨다.
하지만 이 두 학교 체계가 엄격하게 분리된 것은 아니다. 실업계 학교를 졸업하더라도 대학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며, 인문계 고등학교를 졸업해도 직업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두 종류의 학교를 동시에 다니는 것도 가능하다.
실업계 졸업생은 실업계 학교 졸업장(certificate)을 받는다. 인문계 졸업생은 인문계 졸업장과 대학 입학 시험 자격을 모두 취득한다.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실업계 졸업장이나 대입 자격시험(''kaksoistutkinto'') 또는 이 세 가지를 모두 모은 자격증(''kolmoistutkinto'')을 취득할 수도 있다. 인문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장은 '전문대학 입학'에 중요하며, 대학 입학 시험은 대학 입학을 위해 필수적으로 취득해야 한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자체 입학 시험을 치르는 대학들도 있다.
인문계 고등학교에서는 전국적으로 성적이 매겨지는 대학 입학 시험을 치른다. 이 시험은 원래 헬싱키 대학교의 입학 시험이었지만, 높은 신뢰도를 유지하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고등학교 교육은 만 15세 또는 16세에 시작하여 3~4년 동안 지속된다. 과거에는 선택 사항이었지만 2021년 9월부터 의무화되었다.
5. 1. 일반 고등학교 (Lukio)
핀란드의 고등학교 과정은 '이차 교육'이라고 불리며, 실업계와 인문계(Lukio)로 나뉜다. 실업계 학교는 취업을 위한 직업 교육을, 인문계 학교는 전인 교육을 목표로 대학 진학을 준비시킨다. 두 학교는 엄격하게 분리되지 않아, 실업계 졸업생도 대학 교육을 받을 수 있고, 인문계 졸업생도 직업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할 수 있다. 두 학교를 동시에 다니는 것도 가능하다.실업계 졸업생은 실업계 학교 졸업장을, 인문계 졸업생은 인문계 졸업장과 대학 입학 시험(Ylioppilastutkinto)을 모두 취득한다.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실업계 졸업장이나 대입 자격시험, 또는 이 세 가지를 모두 모은 자격증을 취득할 수도 있다. 인문고와 실업고 졸업장은 전문대학 입학에, 대학 입학 자격시험은 대학 입학에 필수적이지만, 자체 입학 시험을 치르는 대학도 있다.
인문계 학교는 전국적으로 성적이 매겨지는 대학 입학 시험을 치르는데, 이는 원래 헬싱키 대학교의 입학 시험이었다. 인문계 학생들은 학교에서 보건을 보장받고, 매일 무상급식을 제공받지만, 교과서와 교재는 직접 구매해야 한다.
고등학교 교육은 15세 또는 16세에 시작하여 3~4년 동안 지속되며, 2021년 9월부터 의무화되었다. 고등학생은 직업 훈련을 받거나, 인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할 수 있다. 인문계 고등학교 입학은 GPA를 기준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학업 시험과 면접을 거친다. 2007년에는 해당 연령대의 51%가 인문계 고등학교에 등록했다.[30]
직업 학교 졸업생은 응용 과학 대학교나 일부 대학 교육을 받을 수 있고,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생은 직업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할 수 있다.[31] 수업료는 무료이며, 직업 및 인문계 학생은 학교 건강 관리, 무료 점심, 교재 및 학교 통학을 지원받는다.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생은 고등학교 자격증과 대학 입학 시험을 치른다. 특별 프로그램 학생은 직업 학교 자격증, 대학 입학 시험, 또는 세 가지 자격증을 모두 받을 수 있다.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약 83%, 즉 해당 연령대의 42%가 대학 입학 시험을 완료한다.[32]
폴리텍은 학교 자격증을, 대학은 대학 입학 시험을 중요하게 보지만, 일부 고등 교육 프로그램은 자체 입학 시험을 보거나 두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수학, 제2 국어 및 외국어는 난이도별 커리큘럼을 선택할 수 있다. 졸업 시험 등록 시 과목과 시험지를 선택하며, 일반적으로 같은 레벨을 유지한다. 수학 고급 레벨은 기술 대학교, 다른 대학교의 수학 과학 프로그램, 의학 분야 등 경쟁력 있는 대학교 과학 프로그램의 필수 조건이다.[33] 수학 졸업 시험 응시자의 20%가 고급 레벨을 선택한다.[34] 전국 졸업 시험은 백분위 기반으로 채점되어 학생의 수학적 능력을 객관적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laudatur를 달성하는 학생들은 수학적으로 해당 연령대 상위 0.4%를 차지한다.[35]

기초 학교 이후의 교육에는 일반 교양의 고등학교 교육과 직업 교육이 포함된다.[68] 3년간의 고등학교 교육에서는 일반 교양을 배우고 고등학교 졸업 자격 시험을 준비한다. 일반 고등학교를 마친 학생은 직업 훈련 학교 또는 고등 교육 기관에 지원할 수 있다.[68] 2017년 기준으로 핀란드에는 340개의 일반 고등학교가 있으며[73], 각 고등학교에서 92,374명의 학생들이 졸업 자격 시험을 위해 학습했다.[74] 일반 고등학교 학생 수는 2000년대에 감소하고 있다.[75]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언어는 핀란드어 또는 스웨덴어이다.
3년간의 직업 기초 자격 합격자는 어떤 분야의 고등 교육에도 지원할 수 있다.[77]
5. 2. 직업 학교 (Ammattikoulu)
핀란드의 직업 학교(Ammattikoulu)는 대한민국 고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두 번째 학제로, 실업계 학교에 해당한다. 직업 학교는 취업을 대비하여 직업 교육이나 직업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직업 학교 졸업생은 정식으로 응용 과학 대학교 또는 일부 경우 대학교 교육을 받을 자격이 주어진다. 또한,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생도 직업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할 수 있으며, 직업 학교와 인문계 고등학교를 동시에 다니는 것도 가능하다.
수업료는 무료이며, 직업 학교 학생들은 학교 건강 관리, 무료 점심, 교재 및 학교 통학을 지원받는다. 졸업 시에는 직업 학교 자격증을 받는다. 특별 프로그램의 학생은 직업 학교 자격증과 대학 입학 시험을 함께 치르거나(''kaksoistutkinto'') 세 가지 자격증을 모두 받을 수도 있다(''kolmoistutkinto'').
직업 기초 자격을 취득한 사람은 해당 분야의 기본적인 기량과 직장 생활에 필요한 직업적인 능력을 갖추게 된다. 수료 자격 단위는 180 "기술 점수"이며, 수강 기간은 3년이다. 이전의 학업과 직장 경력에 따라 수강 기간은 단축될 수 있다.[68] 2014년에는 약 72,000명의 학생들이 직업 수료 시험에 합격했으며, 그 중 53%가 여성이었다. 직업 수료 자격 취득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대다수의 학생은 기술 및 교통, 사회 복지 및 보건, 체육 교육 분야에 재학하고 있다.[76]
직업 자격과 특별 직업 자격은 추가적인 직업 교육이며, 실질적인 자격으로 수강되고 수료 시험 준비 교육이 실시된다.[68] 3년간의 직업 기초 자격 합격자는 어떤 분야의 고등 교육에도 지원할 수 있다.[77]
5. 3. 유연한 교육 체제
핀란드의 고등학교 과정은 '이차 교육(Secondary education)'이라고 불리며, 실업계(Vocational school)와 인문계(Upper secondary school)로 나뉜다. 실업계 학교는 취업을 위한 직업 교육을, 인문계 학교는 전인 교육을 목표로 하며 대학 진학을 준비시킨다.이 체제는 엄격하지 않아서, 실업계 졸업생도 대학 교육을 받을 수 있고, 인문계 졸업생도 직업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할 수 있다. 두 학교를 동시에 다니는 것도 가능하다.
실업계 졸업생은 실업계 학교 졸업장을 받는다. 인문계 졸업생은 인문계 졸업장과 대학 입학 시험 자격을 모두 얻는다.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실업계 졸업장이나 대입 자격시험(kaksoistutkinto) 또는 이 세 가지를 모두 모은 자격증(kolmoistutkinto)을 받을 수도 있다. 인문계 및 실업계 졸업장은 전문대학 입학에 중요하며, 대학 입학 자격시험은 대학 입학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자체 입학 시험을 치르는 대학도 있다.
인문계 학교는 전국적으로 성적이 매겨지는 대학 입학 시험을 치르는데, 이 시험은 원래 헬싱키 대학교의 입학 시험이었다. 인문계 학생들은 학교에서 보건을 보장받고, 매일 점심을 무상으로 제공받지만, 교과서와 교재는 직접 구매해야 한다.
고등학교 교육은 15세 또는 16세에 시작하여 3~4년 동안 지속된다. 2021년 9월부터 고등학교 과정은 의무화되었다. 핀란드 고등학생은 직업 학교에서 직업 훈련을 받거나, 인문계 고등학교(김나지움)에 진학할 수 있다. 인문계 고등학교 입학은 GPA를 기준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학업 시험과 면접을 거친다. 2007년에는 해당 연령대의 51%가 인문계 고등학교에 등록했다.[30]
직업 학교 졸업생은 응용 과학 대학교나 대학교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생은 직업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할 수 있다.[31] 직업 학교와 인문계 고등학교를 동시에 다니는 것도 가능하다. 수업료는 무료이며, 직업 및 인문계 학생은 학교 건강 관리, 무료 점심, 교재 및 학교 통학을 지원받는다.
졸업 시 직업 학교 졸업생은 직업 학교 자격증을 받는다. 인문계 고등학교 졸업생은 고등학교 자격증을 받고 전국적으로 평가되는 대학 입학 시험(핀란드어: ''Ylioppilastutkinto'')을 치른다. 특별 프로그램 학생은 직업 학교 자격증과 대학 입학 시험을 함께 보거나(kaksoistutkinto) 세 가지 자격증을 모두 받을 수 있다(kolmoistutkinto).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약 83%, 즉 해당 연령대의 42%가 대학 입학 시험을 통과한다.[32]
폴리텍은 입학을 위해 학교 자격증을 요구하지만, 대학 입학에서는 대학 입학 시험이 더 중요하다. 일부 고등 교육 프로그램에는 자체 입학 시험이 있으며, 두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기초 학교 이후의 교육에는 일반 교양을 배우는 고등학교 교육과 직업 교육 (직업 기초 자격, 직업 자격, 특별 직업 자격)이 있다.[68]
3년간의 고등학교 교육에서는 일반 교양을 배우고 고등학교 졸업 자격 시험을 준비한다. 일반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직업 훈련 학교나 고등 교육 기관에 지원할 수 있다.[68] 2017년 기준으로 핀란드에는 340개의 일반 고등학교가 있으며,[73] 각 고등학교에서 92,374명의 학생들이 졸업 자격 시험을 위해 학습했다.[74] 일반 고등학교 학생 수는 2000년대에 감소하고 있다.[75]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언어는 핀란드어 또는 스웨덴어이다.
직업 기초 자격을 취득한 자는 해당 분야의 기본적인 기량과 직장 생활에 필요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 수료 자격 단위는 180 "기술 점수"이며, 수강 기간은 3년이다. 이전의 학업과 직장 경력에 따라 수강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68] 2014년에는 약 72,000명의 학생들이 직업 수료 시험에 합격했으며, 그 중 53%가 여성이었다. 직업 수료 자격 취득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대다수의 학생은 기술 및 교통, 사회 복지 및 보건, 체육 교육 분야에 재학하고 있다.[76]
직업 자격과 특별 직업 자격은 추가적인 직업 교육이다. 이것들은 실질적인 자격으로 수강되며, 수료 시험 준비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68] 3년간의 직업 기초 자격 합격자는 어떤 분야의 고등 교육에도 지원할 수 있다.[77]
6. 고등 교육
핀란드의 고등 교육은 '제3차 교육'(''Tertiary Education'')이라고도 불리며, 크게 종합 대학(university)과 전문대학(polytechnics, AMK/YH)으로 이원화되어 있다. 대학은 모두 국립이며, 비교적 입학이 용이하다. 신입생 선발에는 국가 대입자격시험과 대학별 입학 시험이 활용된다.
종합 대학은 연구 중심의 이론 교육을 제공하며, 전문 대학은 실용적 기술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산업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예를 들어 의사는 종합 대학을, 간호사는 전문 대학을 졸업한다. (대학에도 '간호 과학' 전공은 있다.)
학사 학위는 보통 3~4년, 전문대학 학위는 3.5~4.5년이 소요된다. 전문대학 학위는 핀란드 교육 시스템에서 법적으로 종합대학 학위와 동등하게 취급된다.
전문대학 학사 학위 소지자는 일반대학 석사 과정에 지원할 수 있다. 보통 2년 과정이지만, 필요에 따라 1년 추가 이수가 요구될 수 있다. 볼로냐 프로세스로 이러한 과정이 축소되기도 한다. 전문대학 졸업 후 3년 경력이 있으면 전문대학 석사 과정에 지원 가능하며, 일반 대학 학사도 추가 학습을 통해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전문대학 석사 과정은 2년이며, 직장과 병행할 수 있다. 전문대학 석사 학위는 공공 분야 취업 시 일반 대학 석사 학위와 동등하게 대우받는다. 석사 학위 이후 준박사 및 박사 학위는 일반 대학에서만 가능하다.
일반 대학은 학생회 가입이 필수이나, 전문대학은 자율적이다. 핀란드 학생들은 학생 혜택(장학금)을 받을 수 있으며, 부족할 경우 학비 마련을 위해 일하거나 국가 보증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공학, 의학 등 분야에서 전문 학위를 제공하며, 추가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6. 1. 대학 (Yliopisto)


핀란드의 고등 교육은 '제3차 교육'(''Tertiary Education'')이라고도 불리며, 크게 종합 대학(university)과 전문대학(polytechnics, AMK/YH)으로 나뉜다. 핀란드의 종합 대학은 모두 국립이며, 비교적 입학이 용이한 편이다. 대학 신입생 선발에는 국가 대입자격시험과 대학별 입학 시험이 활용된다.[68]
핀란드의 학술 대학교는 과학 연구와 이론 교육에 중점을 두는 반면, 직업 대학교는 실용적이고 직업 생활에 필요한 교육을 제공한다.[68] 예를 들어, 의사는 종합 대학을 졸업하고, 간호사는 전문대학을 졸업한다. (대학에도 간호 과학 전공은 존재한다.)
구분 | 특징 | 학위 과정 | 학생회 |
---|---|---|---|
종합 대학 (University) | 연구 중심, 이론 교육 제공 | 가입 필수 | |
전문대학 (Polytechnics, AMK/YH) | 실용적 기술 교육, 산업 개발 프로젝트 참여 | 가입 자율 |
핀란드 학생들은 학업 성적이 지속적으로 부진할 경우 취소될 수 있는 학생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의학, 공학과 같은 분야에서 전문 학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의사 면허'(''Lääketieteen lisensiaatti'')는 의학 준석사 학위로, 석사 학위에 해당하며 별도의 논문은 필요하지 않다. 미국의 의사에 해당하는 것은 "doctor"가 아닌 준석사이다. 의학 박사에 해당하는 연구 박사 학위는 "의학 박사"(''lääketieteen tohtori'')라고 불린다.
종합대학에서는 학사, 석사, 석사 학위,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68] 2014년 기준, 학사 과정에는 약 17,500명, 석사 과정에는 약 7,000명, 박사 과정에는 1,700명 미만이 입학했다. 가장 많은 학생이 몰린 분야는 상업 및 경영, 인문 계열 및 교육 분야였다.[78]
직업 대학교 학위 취득에는 3.5년에서 4.5년이 소요되며, 상위 직업 대학교 학위는 직업 대학교 학위 또는 기타 적절한 학위와 최소 3년의 실무 경험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68]
6. 2. 응용 과학 대학교 (Ammattikorkeakoulu)
응용 과학 대학교(''Ammattikorkeakoulu'', ''yrkeshögskola'', 줄여서 AMK/YH)는 직업 세계의 요구에 맞춰 실용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산업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한다.[68] 응용 과학 대학교의 연구는 실용적인 성격을 띠며, 이론은 고급 문제 해결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간호사와 엔지니어는 응용 과학 대학교를 졸업한다. (다만, 대학에서도 간호 과학 및 공학 학위를 수여한다.)[68]직업 학교와 응용 과학 대학교는 지방 자치 단체가 관리하거나, 특별한 경우에는 사설 단체가 관리한다. 예외적으로 경찰 대학은 내무부에서 관리한다.
응용 과학 대학교의 학사 학위(폴리텍 학위)는 약 3.5~4.5년이 걸리며, 일반적으로 대학 학위에 준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대학교 및 응용 과학 대학교 졸업생은 대학교 또는 응용 과학 대학교의 석사 학위 과정에 지원하여 학업을 계속할 수 있다. 학사 학위 졸업생이 해당 분야에서 2년의 경력을 쌓으면, 직무 및 연구 중심의 응용 과학 대학교 석사 학위 과정에 지원할 자격이 주어진다.[68] 학사 학위 미만 졸업생도 지원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하다. 응용 과학 대학교의 석사 학위 과정은 2년이 소요되며, 정규 직장과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위 직업 대학교 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직업 대학교 학위 또는 기타 적절한 학위를 소지하고, 이전 학위 취득 후 최소 3년의 실무 경험이 있어야 한다.[68]
6. 3. 대학원 교육
학술 대학교에서는 석사 학위 이후 대학원 과정으로 준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68] 준석사 과정은 박사 과정과 동일한 양의 이론 교육을 제공하지만, 논문 작업에 필요한 요건은 더 적다. 반면, 박사 학위 논문에 대한 요건은 다른 국가보다 약간 더 높은 편이다.가장 일반적인 핀란드 박사 학위는 철학 박사(''filosofian tohtori'', ''filosofie doktorsexamen'')이다. 하지만 기술 대학교에서는 이학 박사(기술)(''tekniikan tohtori'', ''teknologie doktorsexamen'') 학위를 수여하며, 이외에도 의학 분야의 ''lääketieteen tohtori'' (''medicine doktorsexamen''), 예술 분야의 ''taiteen tohtori'', 사회 과학 분야의 ''valtiotieteen tohtori'' (''politices doktorsexamen'') 등 여러 분야별 명칭이 존재한다.
2014년에는 약 1,700명 미만의 학생이 박사 과정에 진학했다.[78]
6. 4. 수업료
핀란드의 국립 대학교는 2017년까지 등록금을 징수하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정부 차원에서 유럽 연합(EU)/유럽 경제 지역(EEA) 외부 학생들에게 등록금을 도입하려는 계획이 있었고, 학생 단체들은 이러한 계획에 반대해 왔다.2017년 가을 학기부터 EEA 외부 학생들은 핀란드에서 유학하기 위해 연간 최소 1500EUR의 등록금을 지불해야 하는 반면, EEA 학생들은 계속 무료로 공부할 수 있다.[42][43] 유럽 외 학생들의 일반적인 등록금은 대학 및 프로그램에 따라 연간 약 6000EUR에서 약 18000EUR에 이른다.[43] 이 등록금의 목표는 "이러한 기관의 교육 수출 기회를 증진하고 자금 기반을 확대"하며, "경쟁 요인으로서 교육의 질을 더욱 강조"하는 것이었다.[44]
7. 성인 교육
핀란드에서는 2014년 초 시행된 법률에 따라 모든 직원이 최소 연간 3일간의 직업 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고용주는 연수 실시에 따른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79]
실업 상태이거나 실업 우려가 있는 구직자들을 위해 노동력 정책적인 성인 교육이 실시된다. 이 교육은 직업 자격 또는 그 일부를 목적으로 하며, 대부분 실제 훈련을 포함한다.[80]
자격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외에도, 핀란드에서는 자유로운 교양 활동의 일환으로 시민학교나 시민·사회인 학교에서 교육이 이루어진다. 자유로운 교양 활동에서는 일반 교양, 취미, 사회 관련 내용을 학습하며, 이는 저녁 시간 또는 종일 단기 수업으로 구성된다. 자유로운 교양 활동의 목적은 평생 학습 원칙에 따라 개인의 다양한 개성 발달과 공동체 활용 능력을 지원하고, 사회에서 국민의 역량, 평등한 가치, 다양성 실현을 촉진하는 것이다.[81]
7. 1. 성인 교육 센터 및 개방 대학
3년 과정의 2차 직업 교육을 마치면, 추가 학습에 대한 자격이 정식으로 주어진다. 그러나 대학에 입학하기 전 비교적 높은 지식 수준을 요구하는 입학 시험 때문에 2차 후기 교육이 필수적이다. 2차 후기 교육은 지자체 학교 또는 성인교육 센터에서 제공되며, 직업 교육이나 종합 또는 고등 교육 수준의 학습이 주어진다.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검정고시와 같은 증서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며, 종합 학교의 학점을 얻을 수도 있다. 실업과 같은 상태에서 '성인 교육 센터'(''aikuiskoulutuskeskus, vuxenutbildningscenter'')에서 새로운 교류 학습을 배우는 것도 가능하다.대학교에서는 학생 자격없이도 "개방 대학교"(Avoin yliopistofi, öppet universitetsv) 프로그램을 통해 개별적인 대학 과정에 등록할 수 있다. 특별한 자격은 없지만, 소량의 수업료(코스당 60EUR)가 부과된다. 응용과학대학교도 유사한 프로그램(Avoin ammattikorkeakoulufi, öppen högskolasv)이 있다. 개방대학 학생들은 좋은 성적으로 수료를 하더라도 학위를 받을 수 없으며, 대신 재학생으로 전과할 수 있는 자격을 가질 수 있다.
세 번째 유형의 성인 교육은 무상 교육(''vapaa sivistystyö'', Free Edication'')을 통해 이뤄진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국비가 지원되는 독립적인 교육 기관을 통해 이뤄진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과정과 학습 기간 및 학업 수준을 제공한다. 성인 무상 교육의 목표는 전문적이거나 학위 우선의 교육이 아니라 다재다능한 재능 개발을 지원하는 것에 있다. 사회와 소통하거나 민주주의를 향유하고, 사회적 평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내용들도 있다.[45] 역사적으로 성인 무상 교육은 19세기 말 학교를 다니지 못한 일반 국민들을 위한 노력에서 시작되었다.[46]
성인 무상 교육은 다음 기관에서 제공한다.[46]
- 206개의 시민 또는 노동 관련 기관(''kansalaisopisto'')
- 88개의 국민 기관(''People’s Institutes'')
- 14개의 스포츠 교육 센터(liikunnan koulutuskeskusfi)
- 20개의 여름 대학(''kesäyliopisto'')
- 11개의 학습 센터(''opintokeskus'')
대부분의 무상 교육기관은 노동 관련 기관인 칸살라이소피스토(''kansalaisopisto'')이며, 종종 역사적인 명칭인 토바데노피스토(''työväenopisto'')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것은 대개 지자체가 운영하는 야간반 기관이며, 언어나 기술, 인문 과정 등을 제공한다. 학업 수준은 매우 다양하며, 많은 과정이 사전 지식을 요구하지 않는다. 반면 칸사노피스토스(kansanopistos)는 기숙사 학교이며, 종교나 정치 재단에 의해 운영된다. 이곳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든 기관에서 각 과정은 약간의 수업료가 필요하다. 스포츠 훈련 센터는 전문적인 또는 준전문적인 스포츠맨을 교육하는 센터이다.
7. 2. 자유 교육 (Vapaa Sivistystyö)
3년 과정의 직업 교육을 마치면 추가 학습 자격이 주어지지만, 대학 입학 시험의 높은 수준 때문에 2차 후기 교육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교육은 지방 자치체 학교나 성인 교육 센터에서 제공되며, 직업 교육, 종합 학교, 고등학교 수준의 학습을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 입학 자격 시험을 보거나 종합 학교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성인 교육 센터에서는 새로운 직업을 배울 수도 있다.[45]대학교에서는 "개방 대학교"(Avoin yliopisto|아보인 윌리오피스토fi)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신분이 없는 사람도 개별 강좌에 등록할 수 있다. 소액의 수강료(예: 강좌당 60EUR)가 있지만, 학위 취득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충분한 학점을 이수하면 학부 학위 프로그램으로 편입할 수 있다. 응용 과학 대학교도 유사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45]
성인 교육의 세 번째 유형은 "자유 교육"(vapaa sivistystyö|바파 시비스튀스튀외fi)이다. 이는 부분적으로 국가 지원을 받는 독립적인 교육 기관에서 제공되며, 다양한 과정과 학습 기간, 학업 수준을 제공한다. "자유 교육"의 목적은 전문적, 학위 지향적 교육이 아닌, 인격의 다면적 발달, 공동체 행동 능력, 사회의 민주주의, 평등, 다양성 실현을 지원하는 것이다.[45] 이는 19세기 말 일반 대중 교육 노력에서 비롯되었다.[45]
"자유 교육"은 다음 기관에서 제공된다:[46]
기관 종류 | 수 | 설명 |
---|---|---|
시민 또는 노동자 연구소 (kansalaisopisto|칸살라이소피스토fi 또는 työväenopisto|튀외배에노피스토fi) | 206개 | 대부분 야간 운영, 언어, 수공예, 인문학 강좌 제공. 다양한 학업 수준, 많은 강좌가 사전 지식 불필요. |
국민 연구소 (kansanopisto|칸사노피스토fi) | 88개 | 기숙 학교, 종종 종교나 정치 재단 운영.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
스포츠 훈련 센터 (liikunnan koulutuskeskus|리쿠난 코울루투스케스쿠스fi) | 14개 | 전문 또는 준전문 운동선수 훈련 기관. |
여름 대학교 (kesäyliopisto|케새윌리오피스토fi) | 20개 | "자유 교육" 보조 기관. |
학습 센터 (opintokeskus|오핀토케스쿠스fi) | 11개 | "자유 교육" 보조 기관. |
이러한 기관들에서 각 과정은 약간의 수업료가 필요하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kansalaisopisto''이며, 역사적 이유로 ''työväenopisto''라고도 불린다. ''kansanopisto''는 기숙 학교이며, 종종 이념적, 종교적 사명을 가진 협회가 운영한다.[46]
8. 외국어 교육
올란드 제도를 제외한 학교에서는 핀란드어가 필수이며, 스웨덴어도 필수로 지정되어 있고, 영어 및 기타 언어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웨덴계 국민은 어려서부터 TV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핀란드어를 접하게 되고, 보통 초등학교 7학년부터 학교에서 스웨덴어를 배우기 시작한다.[63] 현재는 스웨덴어보다 영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초등학교 3학년 정도부터 영어 수업을 시작한다.[63] 또한 종합학교에서도 다른 외국어를 선택 과목으로 이수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 과목 교육 과정 등은 지자체와 학교마다 다를 수 있다. 국가의 외국어에 대한 관심은 전반적으로 높기 때문에 4 ~ 5개 국어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핀란드인도 많다. 핀란드의 우수한 영어 교육 덕에 핀란드인은 영어를 못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한다.
핀란드의 경쟁 우위 중 하나는 외국어 구사 능력이다. 모든 학생들은 모국어 외에 최소 두 개의 언어를 배우며, 주로 영어와 의무적으로 핀란드어 또는 스웨덴어를 고등학교까지 배운다.[63] 2014년, 교육 과정에서 의무적인 스웨덴어를 폐지하자는 시민 발의가 의회에 상정되었으나 통과되지 못했다.[63] 국가 교육 과정의 필수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핀란드인의 절반 이상이 스웨덴어를 초급 수준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핀란드인의 절반 이상은 스웨덴어가 개인적인 삶에서 완전히 또는 거의 쓸모가 없었다고 답한다.[63]
9. 교육의 미래 전망
볼로냐 프로세스와 핀란드 정치인들의 고등 교육 확대 목표에 따라 핀란드의 고등 교육 진학률은 높은 편이다.(매년 약 60~70%의 코호트가 고등 교육에 진학)[49] 그러나 최근 학문적 실업률 증가로 인해 경제계, 노동조합, 학생회 등에서는 신규 학생 정원 감축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1990년대 고등 교육 학생 정원 급증과 응용 과학 대학(''AMK''/''YH'') 학위 인플레이션 현상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이에 교육부는 2007년과 2008년부터 응용 과학 대학 신규 학생 정원을 전국적으로 10% 감축하도록 명령했다.
2015년 유하 시필레 총리 내각은 대학 자금을 5억유로 삭감했다.[50]
한편, 배관공이나 건설 노동자와 같은 기본적인 인력 부족 현상이 나타나 직업 학교 학생 정원 증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또한, 고등 교육 진학 연령대보다 은퇴 연령대가 더 커서 인력 부족 문제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9. 1. 고등 교육 시스템 구조 조정
볼로냐 프로세스가 진행되면서 직업 자격과 학문적 자격 간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일부 분야에서는 새로운 대학원 학위가 도입되었다.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협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통합이 이루어질 것이다(그러나 상당한 압력 없이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이는 볼로냐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핀란드 정치인들의 목표, 즉 핀란드인 대다수를 더 높은 학위로 교육하려는 목표(매년 약 60~70%의 코호트가 고등 교육에 진학)에서 비롯된다.[49]최근 몇 년 동안, 학문적 실업률이 증가하는 추세가 지속되면서 경제계와 노동조합, 학생회 등에서 신규 학생 정원 감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1990년대 고등 교육의 학생 정원이 급증한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응용 과학 대학(''AMK''/''YH'')의 일부 학위가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이러한 현재의 믿음을 반영하여, 교육부는 2007년과 2008년부터 적용되는 응용 과학 대학의 신규 학생 정원을 전국적으로 10% 감축하라고 최근 명령했다. 2001년과 2002년에는 대졸자의 실업률이 3.7%였고, 응용 과학 대학 졸업자의 실업률은 8%로 일반 실업률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2015년, 유하 시필레 총리 내각에서 정부는 대략 5억유로의 대학 자금 삭감을 결정했다.[50]
핀란드에서는 배관공이나 건설 노동자와 같은 기본적인 인력 부족이 널리 인식되고 있으므로, 직업 학교의 학생 정원 증가가 선호될 수 있다. 또한 현재 핀란드에서는 고등 교육에 진학하는 연령대보다 은퇴하는 연령대가 더 크고, 가까운 미래에도 이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화와 감소하는 젊은 인구 집단에 대한 경쟁 심화로 인해 교육부는 시스템 전반의 구조 조정을 요구해 왔다. 2006년부터 모든 고등 교육 기관은 협력 방식을 공유해 왔다. 전체 기관 수는 10~15년 안에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 내 구조 조정 과정은 2010년 쿠오피오 대학교와 요엔수 대학교가 동핀란드 대학교로 합병되면서 시작되었다.[51] 헬싱키에서는 헬싱키 기술 대학교, 헬싱키 경제 대학교, 헬싱키 디자인 예술 대학교 등 3개의 지역 대학교가 2009년 8월 1일에 새로운 알토 대학교로 합병되었다. 또한 여러 응용 과학 대학교가 합병을 발표했다.
컨소시엄 및 연합과 같은 새로운 협력 방식이 대학 내에 도입되었다. 전통적인 대학교와 응용 과학 대학교 간의 파트너십도 발전하고 있다.
9. 2. 국가 교육 과정 틀 2016
2016-2017학년도부터 핀란드는 현상 기반 학습 도입을 의무화하는 교육 개혁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는 새로운 ''국가 교육 과정 틀''의 일환으로, 7세에서 16세 사이의 학생들을 위한 모든 초등학교에 적용될 것이다. 핀란드 학교는 1980년대부터 현상 기반 학습을 사용해 왔지만, 이전에는 의무 사항은 아니었다.[54] 핀란드의 교육 시스템은 많은 사람들에게 성공적인 모델로 여겨져, 전 세계의 교육자들이 이 발전을 연구할 것으로 예상된다.[54][55][56][57][58] 이러한 변화는 협업, 의사 소통, 창의성 및 비판적 사고와 같은 21세기 기술 개발을 장려하는 다른 변화와 일치한다.[59]10.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을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Current expenditure has decreased in real terms since 2010
https://www.stat.fi/[...]
Statistics Finland
[2]
서적
The Condition of Education 2019 (NCES 2019-144)
https://nces.ed.gov/[...]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19
[3]
웹사이트
Twenty-five Years of Educational Reform Initiatives in Finland
http://www.oppi.uef.[...]
2008
[4]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Education index
http://hdr.undp.org/[...]
2021-05-14
[5]
웹사이트
Pisa-tulokset julki: Suomi pudonnut matematiikassa 10 sijaa yhdeksässä vuodessa
http://yle.fi/uutise[...]
2013-12-03
[6]
웹사이트
Competitiveness Rankings
http://wef.ch/2wcVUt[...]
[7]
웹사이트
Girls, boys, and reading
http://www.brookings[...]
2001-11-30
[8]
간행물
Suomen kuvalehti Koulutus säästökuurilla
2018-04-27
[9]
웹사이트
Kysymys
http://www2.kirjasto[...]
[10]
서적
Kansakoulu 1866–1966
[11]
서적
"Finnish Daycare: Caring, Education and Instruction", in ''Nordic Childhoods and Early Education: Philosophy,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in Denmark, Finland, Iceland, Norway, and Sweden'', ''Serie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2006
[12]
웹사이트
Leo R. Sandy, "Education in Finland", ''New Hampshire Journal of Learning'' Vol. 10 (April 2007)
http://oz.plymouth.e[...]
[13]
논문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Finland", ''Nordic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Vol. 1, no. 1 (2008)
[14]
뉴스
Tom Burrage, "Why Do Finland's Schools Get the Best Results?" ''BBC News''
http://news.bbc.co.u[...]
2010-04-07
[15]
웹사이트
Pepa Ódena, "Finl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http://www.xtec.es/~[...]
Xtec.es
[16]
문서
Ódena, "Finl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it.
[17]
웹사이트
Early Education's Top Model: Finland
https://www.theglobe[...]
2009-06-16
[18]
웹사이트
Learning To Learn And Why It Matters
https://funacademy.f[...]
2018-06-07
[19]
웹사이트
Finland extends compulsory schooling age to 18
https://yle.fi/uutis[...]
2020-12-15
[20]
웹사이트
Diane Ravitch, "How and How Not to Improve Our Schools", ''New York Review of Books'' (22 March 2012)
http://www.nybooks.c[...]
[21]
웹사이트
''The Hechinger Report'', "What We Can Learn From Finland: A Q&A with Dr. Pasi Sahlberg" (9 December 2010)
http://hechingerrepo[...]
Hechingerreport.org
2010-12-09
[22]
웹사이트
Samuel E. Abrams, "The Children Must Play: What the United States can learn from Finland about Education Reform"
http://www.tnr.com/a[...]
The New Republic
2011-01-28
[23]
문서
Samuel E. Abrams, "The Children Must Play" (2011), cit.
[24]
웹사이트
Hechinger Report (9 December 2010)
http://hechingerrepo[...]
2013-01-18
[25]
웹사이트
Graeme Smith, Head of Croydon Music and Arts, "Lessons in Education and Music from Finland"
http://www.thefms.or[...]
Thefms.org
[26]
웹사이트
Soili Hietaniemi,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Finland," 2005.
http://www.uta.fi/FA[...]
2012-03-18
[27]
문서
Leo R. Sandy, "Education in Finland" (2007), cit.
[28]
뉴스
Suutarila Journal; Educators Flocking to Finland, Land of Literate Children
https://www.nytimes.[...]
2004-04-09
[29]
웹사이트
Nutrition in Finland
Ktl.fi
[30]
웹사이트
1 250 opiskelijapaikan lisääminen ammatillisen peruskoulutuksen järjestämislupiin 1.1.2010 lukien
http://www.minedu.fi[...]
2011-09-27
[31]
웹사이트
Vocational Education in Finland
http://www.unevoc.un[...]
2013-11-18
[32]
웹사이트
Oph.fi
http://www.oph.fi/do[...]
[33]
웹사이트
The Finnish Matriculation Examination – Ylioppilastutkinto
http://www.ylioppila[...]
Ylioppilastutkinto.fi
2009-08-28
[34]
웹사이트
Ylioppilastutkinto.fi
http://www.ylioppila[...]
[35]
웹사이트
Percent of high school dropouts (status dropouts) among persons 16 to 24 years old, by sex and race/ethnicity: 1960–2003
http://nces.ed.gov/p[...]
Nces.ed.gov
[36]
뉴스
Highly trained, respected and free: why Finland's teachers are different
https://www.theguard[...]
2019-05-15
[37]
웹사이트
Highly educated teachers the key to success – ABC New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http://www.abc.net.a[...]
Abc.net.au
2012-09-29
[38]
웹사이트
Finnish National Agency for Education - Teacher and School leaders
https://www.oph.fi/e[...]
2018-06-06
[39]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and degrees
https://minedu.fi/en[...]
2020-03-31
[40]
웹사이트
Masters in Finland (2024)
https://www.study.eu[...]
2024-03-07
[41]
웹사이트
Opintopolku
https://opintopolku.[...]
2024-03-07
[42]
웹사이트
Finland introduces university tuition fees for non-EU students
http://monitor.icef.[...]
2019-05-15
[43]
웹사이트
Tuition fees in Finland: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www.study.eu[...]
2019-05-15
[44]
웹사이트
International Education News l The PIE News l Finnish universities to charge non-EU fees
https://thepienews.c[...]
2019-05-15
[45]
웹사이트
Kuntaliitto.fi
http://www.kunnat.ne[...]
2017-12-29
[46]
웹사이트
Vapaan sivistystyön kehittämisohjelma 2009–2012
http://www.minedu.fi[...]
2010-08-16
[47]
웹사이트
European libraries and Google cooperate in digitization - Digital Libraries and Knowledge Platforms Department
http://dl.psnc.pl/20[...]
2016-08-25
[48]
웹사이트
Public Domain on Trial in Reiss-Engelhorn Museum vs. Wikimedia et al. - International Communia Association
http://www.communia-[...]
2017-12-29
[49]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in Finland". The International Education Site'
http://www.intstudy.[...]
Intstudy.com
2012-06-27
[50]
웹사이트
A Finnish Lament
http://www.6d.fi/6d/[...]
[51]
웹사이트
University of Eastern Finland
http://www.uef.fi
2012-06-27
[52]
웹사이트
Turusta tieteen huippukeskittymä
http://www.utu.fi/me[...]
2008-03-19
[53]
웹사이트
http://www.pskkk.fi
[54]
웹사이트
What is Phenomenon-Based Learning?
http://teachmiddleea[...]
Teach Middle East
2017-06-03
[55]
웹사이트
26 Amazing Facts About Finland's Unorthodox Education System
http://www.businessi[...]
Business Insidere
2017-06-03
[56]
웹사이트
Finland's Education System: 10 Surprising Facts That Americans Shouldn’t Ignore
http://www.takepart.[...]
Takepart
2017-06-02
[57]
웹사이트
Phenomenon-Based Learning
http://www.matific.c[...]
2017-12-29
[58]
뉴스
No, Finland isn't ditching traditional school subjects. Here’s what’s really happening.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7-06-03
[59]
웹사이트
Augmented Learning and Teaching The Skills of the 21st Century
https://workethic.or[...]
The Center For Work Ethic Development
2017-06-03
[60]
뉴스
The Finland Phenomenon: Inside the World's Most Surprising School System
https://blogs.forbes[...]
Forbes
2011-05-02
[61]
웹사이트
Welcome to the elem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ee online course
http://www.elementso[...]
[62]
웹사이트
Finland offers free online Artificial Intelligence course to anyone, anywhere
https://yle.fi/uutis[...]
2018-05-15
[63]
웹사이트
Kysely: Kysymys ruotsin kielen hyödyllisyydestä jakaa suomalaiset jyrkästi kahtia – neljäsosa sanoo, ettei osaa kieltä lainkaan
https://yle.fi/uutis[...]
2019-08-05
[64]
웹사이트
Current expenditure has decreased in real terms since 2010
https://www.stat.fi/[...]
Statistics Finland
[65]
서적
The Condition of Education 2019 (NCES 2019-144)
https://nces.ed.gov/[...]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19-10-01
[66]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の学校教育について 国民の年齢構成と教育水準
http://www9.plala.or[...]
[67]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の学校教育について 1950~1977年の学校体系
http://www9.plala.or[...]
[68]
웹사이트
Koulutusjärjestelmä
http://www.minedu.fi[...]
Opetus-ja kulttuuriministeriö
2015-09-30
[69]
웹사이트
Esiopetus muuttuu kaikille pakolliseksi
http://www.ksml.fi/u[...]
Keskisuomalainen
2015-08-13
[70]
웹사이트
Opettajien kelpoisuusvaatimukset
http://www.helsinki.[...]
Helsingin yliopisto, Käyttäytymistieteellinen tiedekunta
2015-09-30
[71]
웹사이트
Perusopetuslaki: Oppivelvollisuus sekä oppilaan oikeudet ja velvollisuudet
https://www.finlex.f[...]
Finlex
2015-08-13
[72]
웹사이트
http://pxnet2.stat.fi/PXWeb/pxweb/fi/StatFin/StatFin__kou__kjarj/statfin_kjarj_pxt_001_fi.px/table/tableViewLayout2/?rxid=b371cffb-4ec4-4733-9d81-1cdc60b3053f
http://pxnet2.stat.f[...]
pxnet2.stat.fi
2018-11-02
[73]
웹사이트
Koululaitoksen oppilaitokset 2005-2018
http://pxnet2.stat.f[...]
pxnet2.stat.fi
2018-11-02
[74]
웹사이트
Opiskelijat
http://pxnet2.stat.f[...]
pxnet2.stat.fi
2018-11-02
[75]
웹사이트
Lukiokoulutuksen opiskelijamäärä väheni hieman
http://stat.fi/til/l[...]
Tilastokeskus
2015-09-30
[76]
웹사이트
Ammatillisessa koulutuksessa 120 700 uutta opiskelijaa vuonna 2014
http://stat.fi/til/a[...]
Tilastokeskus
2015-09-30
[77]
문서
Opinkeuruu.fi - Hakukelpoisuus
https://www.opinkeur[...]
[78]
웹사이트
Yliopistojen opiskelijamäärä väheni ja tutkintojen määrä kasvoi vuonna 2014
http://stat.fi/til/y[...]
Tilastokeskus
2015-09-30
[79]
웹사이트
Tukea työntekijöiden ammatillisen osaamisen kehittämiseen
http://www.sak.fi/os[...]
SAK
2015-08-13
[80]
웹사이트
Työvoimakoulutus
http://www.tyollisyy[...]
Työllisyysportti
2015-10-04
[81]
웹사이트
Vapaa sivistystyö
http://www.oph.fi/ko[...]
Opetushallitus
2015-10-04
[82]
뉴스
Opetusministeri Suomen heikentyneestä OECD-menestyksestä: "On nukuttu ruususen unta"
https://yle.fi/uutis[...]
Yle
2017
[83]
웹사이트
15 vuotta täyttänyt väestö koulutusasteen ja sukupuolen mukaan 2013
http://tilastokeskus[...]
Tilastokeskus
2015-09-30
[84]
간행물
Kotoa koululainen ponnistaa
http://yliopisto-leh[...]
Yliopisto
2009/1
[85]
웹사이트
PISA – Suomen menestystarina
https://ktl.jyu.fi/p[...]
Jyväskylän yliopisto
2015-08-13
[86]
웹사이트
Tuore yliopistovertailu kertoo: Suomalaiset eivät edelleenkään pärjää
http://www.tekniikka[...]
Tekniikka ja Talous
2015-08-13
[87]
문서
lukiovertailuja
http://www.mtv3.fi/l[...]
MTV3
[88]
웹사이트
Lukioiden väliset laatuerot ovat pääosin pieniä
https://www.vatt.fi/[...]
VATT
2015-08-13
[89]
웹사이트
Turun akatemia
http://opinnot.inter[...]
Otavan opisto Nettilukio
2015-08-13
[90]
웹사이트
Historiaa
https://www.utu.fi/f[...]
Turun yliopisto, lääketieteellinen tiedekunta
2015-10-04
[91]
웹사이트
”Ei muuta koulua kuin kiertokoulua”
http://www.koulumuis[...]
Urjalan koulujen vaiheita
2015-09-30
[92]
서적
Pieni Tietosanakirja / II. Isopurje – Maskotti /
http://runeberg.org/[...]
2015-09-30
[93]
웹사이트
Oppivelvollisuuslaki 1921: Kaikki koulun penkille
http://www.minedu.fi[...]
Opetus- ja kulttuuriministeriön verkkolehti
2015-09-30
[94]
웹사이트
Tasa-arvo ja oikeudenmukaisuus perusopetukseen sijoittumisessa ja valikoitumisessa
http://www.kasvatus-[...]
Kasvatus & Aika
2015-09-30
[95]
웹사이트
Peruskoulu alkoi Lapista 40 vuotta sitten
http://yle.fi/uutise[...]
Yle
2015-09-30
[96]
웹사이트
Koulutuksen merkkivuosia
http://www.oph.fi/do[...]
Opetushallitus
2015-10-04
[97]
웹사이트
Ilmainen kouluruoka taikoo eurolla ihmeitä
http://yle.fi/uutise[...]
Yle Keski-Suomi
2015-10-11
[98]
웹사이트
Kouluterveydenhuolto
https://www.thl.fi/f[...]
Terveyden ja hyvinvoinnin laitos
2015-10-11
[99]
웹사이트
Yhden koulupsykologin vastuulla on nyt tuhat oppilasta
http://yle.fi/uutise[...]
Yle
2015-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